suheang

[백준] | JAVA, 자바 | 13304번 - 방 배정 본문

알고리즘

[백준] | JAVA, 자바 | 13304번 - 방 배정

suheang 2024. 8. 2. 23:32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304


문제 요약 :

1~2학년은 남학생, 여학생 구별 없이 방을 배정할 수 있으며 3~6학년은 남학생은 남학생끼리, 여학생은 여학생끼리 방을 배정해야 한다. 또한 1~2학년은 학년 구별 없이 같은 방에 배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3~4학년도, 5~6학년도 각각 학년 구별 없이 방을 배정할 수 있다. 물론 한 방에 한 명만 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.

 

한 방에 배정할 수 있는 최대 인원 수 K가 주어졌을 때, 조건에 맞게 모든 학생을 배정하기 위해 필요한 방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
문제 풀이 :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int k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
        // check[0] = 1~2학년 남,녀 / check[1] = 3~4학년 여 / check[2] = 5~6학년 여 / check[3] = 3~4학년 남 / check[4] = 5~6학년 남
        int[] check = new int[5];
        int total = 0;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    int s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    int grade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
            if (s == 0) {
                if (grade == 1 || grade == 2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0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0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0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 else if (grade == 3 || grade == 4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1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1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1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 else if (grade == 5 || grade == 6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2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2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2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if (grade == 1 || grade == 2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0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0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0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 else if (grade == 3 || grade == 4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3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3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3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 else if (grade == 5 || grade == 6) {
                    check[4]++;
                    if (check[4] == k) {
        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        check[4] = 0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for (int i = 0; i < check.length; i++) {
            if (check[i] >= 1) {
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total);
    }
}

 

1. 수학여행에 참가하는 학생 수 n, 한 방아 배정할 수 있는 최대 인원수 k 입력받기
2. 크기가 5인 배열 check 생성 (1~2학년 남, 여 / 3~4학년 남자 / 5~6학년 남자 / 3~4학년 여자 / 5~6학년 여자, 총 5개로 분류할 수 있어서 크기를 5로 지정), 필요한 방의 개수를 저장할 변수 total 생성
3. n 만큼 성별과 학년을 입력받음
4. 입력받은 성별에 따라서 분류한 대로 check 값을 ++
5. 만약 check 값이 k와 같다면 total에 ++ 해주고 다시 값을 0으로 초기화

6. for 문을 사용해서 배열 check의 값들을 확인하고 1 이상이면 total++
7. 저장된 total 출력


리팩토링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int k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
        int[] check = new int[5];
        int total = 0;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    int s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 
            int grade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 

            int index;
            if (grade <= 2) {
                index = 0; // 1~2학년 남녀 공통
            } else if (grade <= 4) {
                index = (s == 0) ? 1 : 3; // 3~4학년 여:1, 남:3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index = (s == 0) ? 2 : 4; // 5~6학년 여:2, 남:4
            }

            check[index]++;

            if (check[index] == k) {
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    check[index] = 0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
        for (int i = 0; i < check.length; i++) {
            if (check[i] > 0) {
                total++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
        System.out.println(total);
    }
}

 

배열에 들어갈 인덱스의 값을 저장해 줄 변수 index를 생성하고 삼 항 연산자를 사용하여 코드의 길이를 줄였다.